Linux (4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Linux] GTK4 테마 바꾸기 GTK3 같은 경우에는 lxappearance 프로그램을 통해 테마를 바꿀 수 있었다. 하지만 Nautilus 같이 GTK4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은 lxappearance를 통한 테마 변경이 되지 않았다. 결국 테마의 가장 근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갈 수 밖에 없었다. GTK테마들의 설정이 담겨있는 파일들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. $HOME/.config/gtk-2.0$HOME/.config/gtk-3.0$HOME/.config/gtk-4.0저 각각의 폴더 안에 settings.ini 파일이 있는데 그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. settings.ini 파일 안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.[Settings]gtk-application-prefer-dark-theme=0gtk-cursor-theme-name=Adw.. [Linux] [스크랩] Possible autostart paths 정리 upstart, example config file: /etc/init.d/foo autostart (system), example config file: /etc/xdg/autostart/foo.desktop autostart (profile), example config file: ~/.config/autostart/foo.desktop cron's @reboot, example config file: /var/spool/cron/crontabs 출처: https://askubuntu.com/questions/304201/what-are-all-the-autostart-locations-in-ubuntu 여기 없으면 서비스일수도 있으니 만약 서비스라면 systemctl disable하기 [Linux] [스크랩] 네이버 웨일 redhat계열에 설치하기 웨일은 데비안 패키지로만 배포된다. 따라서 레드햇에 깔기 위해선 alien프로그램을 이용해 rpm패키지로 바꿔주어야 한다. 아래부터는 스크랩이다. original post: https://forum.whale.naver.com/topic/31742/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Whale fails to provide any RPM packages. Very unfortunate. The latest .deb can be converted to RPM using alien but there are some issues. Here's how to solve those. I recommend listening to Rockit Girl L.. [Linux] 페도라 데스크톱 환경 변경하기 데스크탑 설치를 원한다면 sudo dnf grouplist -v 를 해서 원하는 데스크톱 환경이 있는지 확인하고 sudo dnf group install "KDE Plasma" 이런식으로 해주면 된다. (나는 KDE Plasma로 바꾸었다.) 만약 완전히 다른 데스크탑 환경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sudo dnf swap @workstation-product-environment @kde-desktop-environment 를 해주면 된다. 뒤의 @를 자기가 원하는 것으로 변경하면 된다. 만약 완전히 다른 페도라 스핀으로 바꾸고 싶다면 sudo dnf swap fedora-release-identity-workstation fedora-release-identity-kde 이렇게 하면 된다. 이것도 역시 뒷.. [Linux] unzip *.zip시 caution: filename does not match 해결법 그냥 unzip *.zip을 하면 bash shell이 *를 해석하게 된다. 하지만 unzip자체가 *를 받을 수 있으므로 unzip프로그램이 *를 받게 해주어야 한다. 따라서 bash에서 무시하도록 \를 추가해준다. unzip \*.zip 도움을 받은 곳: https://sancs.tistory.com/5 [Linux] Wayland에서 input method 설정하기 X11에선 /etc/X11/ 아래에 있는 파일에서 input method를 수정하였으나 Wayland에선 /etc/environment 파일에서 input method를 수정하면 된다. 아마 아무 내용도 없을텐데 아래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. INPUT_METHOD=fcitx GTK_IM_MODULE=fcitx QT_IM_MODULE=fcitx XMODIFIERS=@im=fcitx fcitx가 아니라 iBus를 쓰고 싶으면 ibus로 고치면 된다. 출처: https://en.opensuse.org/SDB:Enable_input_method_in_Wayland [Linux] 순정 GNOME을 이용한 소감 난 지금까지 GNOME이 쓰레기인줄 알았다. KDE가 최고라고 생각해왔다. 너무 우분투만 써온 것 같아 페도라를 이번에 설치해봤다. 그리고 맛 본 순정 GNOME은 신세계였다. 물론 옛날 GNOME은 쓰레기지만 지금은 매우 좋아졌다. macOS와 매우 유사하여 굉장히 쾌적하다. 우분투에선 따로 설치한 터치패드 제스쳐가 잘 안먹어서 그냥 안쓰게 되었었는데 페도라의 순정 GNOME은 원래부터 macOS와 유사한 제스쳐가 있었고 굉장히 인식률이 좋았다. macOS의 가장 큰 장점이 굉장히 유연한 터치패드 제스쳐라고 생각하고 이것보다 더 좋은 컨트롤 방법은 없다고 생각해왔다. 그놈이 이런 제스쳐를 네이티브로 지원한다니 신세계다. 마우스를 쓰게 된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터치패드에선 우분투그놈 [Linux] LG 노트북 usb부팅 문제 해결법 LG노트북은 부팅 usb가 UEFI여야 하고 맨 처음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이 NTFS로 되어 있어야 인식한다. 그래서 굉장히 불편하다. 해결책은 아래와 같다. 참고로 처음 시작 환경은 윈도우즈이고 여기에 리눅스를 설치하고자 한다. 1. Rufus로 usb를 UEFI:NTFS로 만든다. 2. 그리고 윈도우의 파티션 도구로 들어간다. 검색창에 disk partition이라 치면 나온다. 3. usb의 NTFS영역을 shrink한다. 그리고 나온 free space에 새 볼륨을 만들고 FAT32로 포맷해준다. USB 저장공간이 NTFS와 FAT32가 대략 1:1로 분할 되어있으면 된다. 4. 원하는 OS의 iso파일을 마운트한다. 그리고 안의 내용물을 전부 복사하고 usb의 NTFS영역 그리고 FAT32영역 .. 이전 1 2 3 4 5 6 다음